퇴직연금

연금저축, 월 얼마가 적당할까? 최신 금액 가이드 (2025년 기준)

연금지혜사 2025. 4. 8. 23:38

“연금저축, 대체 월 얼마부터 넣는 게 좋을까?”
이 질문,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한다.

특히 2023년부터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가 기존 400만원 → 600만원으로 상향되면서,
“그럼 월 납입액도 조정해야 하나?” 고민이 많아졌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최신 세제 기준에 맞춰,
월 10만원부터 월 50만원 이상까지,
소득 수준과 투자 목적에 따라 어떻게 납입 전략을 세우면 좋을지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보겠다!

1. 연금저축 세액공제, 이제 연간 600만원까지!


2023년 개정으로 인해,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원으로 상향되었다.

세액공제율은?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6.5%

총급여 5,500만원 초과 → 13.2%


예를 들어,

연금저축에 600만원 넣고

IRP에 300만원 넣으면

→ 최대 900만원 공제 가능
→ 세액공제 최대 약 148만5천원 환급!


2. 월 10만원: 부담 없이 시작하는 절세 첫걸음


연간 납입액: 120만원

세액공제: 약 15만8천원(13.2%) ~ 19만8천원(16.5%)


추천 대상

사회초년생

생활비 여유가 적은 20대

절세와 투자 경험을 동시에 시작하고 싶은 분


전략 팁

초반엔 ETF/펀드 혼합형 상품 중심으로

소액이라도 10년 이상 꾸준히 유지 시 복리 효과가 크다!


3. 월 25만원: 실속 있는 절세 구간


연간 납입액: 300만원

세액공제: 약 39만6천원(13.2%) ~ 49만5천원(16.5%)


추천 대상

직장생활 2~5년차

연말정산으로 매년 세금을 내는 분

IRP를 함께 활용할 여유가 있는 경우


전략 팁

연금저축 300 + IRP 300으로 600만원 채워도 절세 충분!



4. 월 50만원: 세액공제 한도에 거의 근접


연간 납입액: 600만원

세액공제: 약 79만2천원(13.2%) ~ 99만원(16.5%)


추천 대상

절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직장인

연말정산 환급으로 여행/적금 계획 잡는 분

자산 성장과 세금 환급 두 마리 토끼 잡고 싶은 분


전략 팁

연금저축으로 600만원 채우고

IRP엔 더 안 넣어도 절세는 거의 최상급!


5. 월 75만원 이상: 투자 + 절세 + 노후까지 다 잡기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 총 900만원

세액공제 약 118만8천원(13.2%) ~ 148만5천원(16.5%)


추천 대상

연금저축/IRP를 모두 풀로 활용하고 싶은 분

고소득 직장인, 40~50대 이상

노후자산 + 절세 극대화 전략을 세운 투자자


전략 팁

연금저축 50만원 + IRP 25만원으로 나누면 딱 좋아요

투자 비중은 70% ETF + 30% 채권형 조합도 고려!


상황별 추천 납입 전략 요약



※ 세액공제율 13.2% 기준. 총급여 5,500만원 이하일 경우 16.5% 적용!

Q&A: 초보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


Q1. 연금저축이랑 IRP는 꼭 둘 다 해야 하나요?
A: 꼭은 아니지만, 같이 하면 더 유리해요.
세액공제 한도가 900만원으로 넓어져서 절세효과가 큽니다.

Q2. 월 50만원은 너무 부담돼요. 괜찮을까요?
A: 물론이죠! 월 10만원부터도 충분히 의미 있어요.
절세도 되고, 투자 훈련도 되고, 복리도 쌓이니까요.

Q3. 매년 금액을 조절해도 되나요?
A: 네. 연금저축은 자유납입식이기 때문에,
올해 50만원 넣고 내년엔 10만원 넣어도 됩니다.

마무리: 가장 좋은 금액은 ‘당신이 유지할 수 있는 금액’

연금저축은 단기 스펙이 아닌 장기 전략이다.
매달 무리하지 않는 금액으로 시작해서
꾸준히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월 10만원으로 시작해도

연말에 15만원 돌려받고

30년 뒤에는 노후에 연금처럼 받는다면?


이보다 더 좋은 투자는 드물다.

절세 + 수익 + 노후를 한 번에 잡는
연금저축! 오늘부터 한번 시작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