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를 처음 샀을 때, 솔직히 제일 궁금한 건 딱 하나였다.
“지금 내가 이걸로 돈을 벌고 있는 걸까, 잃고 있는 걸까?”
근데 문제는… 어디서 어떻게 봐야 되는지 전혀 모르겠더라고!
앱을 열면 숫자가 가득하고, 수익률, 평가금액, 평균단가… 생전 처음 보는 용어들이 넘쳐난다.
심지어 어떤 건 빨간색, 어떤 건 파란색인데… 대체 뭐가 좋은 건지조차 헷갈렸다.
그래서 나처럼 ETF 수익률 확인이 처음인 분들을 위해,
진짜 쉽게! 숫자 울렁증이 있어도 바로 이해할 수 있게!
수익률 확인 방법과 용어 뜻, 해석하는 요령까지 싹~ 정리해보겠다!
1. 수익률 확인은 왜 중요할까?
ETF를 사고 나면 끝이 아니다.
중요한 건 내가 투자한 돈이 잘 자라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수익률을 보면 아래와 같은 걸 알 수 있다:
내가 산 가격보다 지금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혹은 떨어졌는지
수익이 날 때 팔지, 더 기다릴지 결정하는 기준
ETF를 계속 보유할지, 다른 걸로 바꿀지 판단
투자를 잘 하려면 무작정 오래 들고 있기보다, 정기적으로 상태를 체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그 첫걸음이 바로 수익률 확인하는 것이다!
2. 수익률 확인하는 3가지 방법
수익률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까?
IRP 계좌가 증권사에 있다면, 대부분 모바일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가 쓰고 있는 삼성증권과 미래에셋증권 앱 기준으로 설명할게.
(타 증권사도 거의 비슷한 구조다!)
방법 1. 자산현황 메뉴에서 확인
앱 실행 → IRP 계좌 클릭 → “자산현황” 또는 “상품 보유내역” 클릭
그러면 내가 보유한 ETF 리스트가 뜨고, 그 옆에 수익률이 %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TIGER S&P500 ETF | 수익률 +6.45%
KODEX 코스피200 ETF | 수익률 -1.23%
이렇게 나오면, 첫 번째 ETF는 수익 중이고, 두 번째는 손실 중이라는 뜻!
방법 2. 평가금액 vs 매입금액 비교하기
조금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아래 두 항목을 비교하면 된다:
매입금액: 내가 실제로 투자한 돈
평가금액: 지금 그 ETF가 얼마짜리가 되었는지
이 둘의 차이가 바로 수익이다!
예시)
내가 50만 원 넣었는데 지금 평가금액이 53만 원이다?
→ 수익률은 약 +6%
내가 50만 원 넣었는데 지금 평가금액이 48만 원이다?
→ 수익률은 약 -4%
정확한 수치는 앱이 자동으로 계산해줘서 복잡한 계산은 안 해도 된다!
방법 3. 평균단가와 현재가 비교하기
ETF는 주식처럼 ‘한 주에 얼마에 샀는지’가 중요하다.
이걸 **‘평균단가’**라고 한다.
그리고 지금 시세는 ‘현재가’.
예를 들어:
평균단가: 9,800원
현재가: 10,200원
→ 수익 중! (400원 올랐네요)
평균단가: 9,800원
현재가: 9,400원
→ 손실 중! (400원 하락)
이걸 한눈에 보여주는 게 바로 수익률 %.
그러니까 수익률 = (현재가 - 평균단가) / 평균단가 * 100 이지만,
앱이 자동으로 계산해주니 우리는 그냥 숫자만 보면 되는 거다!

3. 수익률 숫자 해석하는 법
숫자만 봐서는 잘 안 와닿는 분들도 있지?
예를 들어 +3.5%, -2.1% 같은 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 수익률일 때
+1% ~ +5%: 정상적인 수익이다. ETF는 천천히 오르는 게 일반적이니까 너무 조급해하지 마라!
+10% 이상: 꽤 오른 거다! 이쯤 되면 수익 실현(=파는 것)을 고민해볼 수도 있다.
- 수익률일 때
-1% ~ -3%: 시장이 조금 흔들리는 정도다. 너무 걱정 안 해도 된다.
-10% 이상: 많이 떨어진 편이지만, ETF는 분산투자라 회복 가능성도 크다. 당장 팔 필요는 없다.
포인트는!
ETF는 주식처럼 단타로 사고파는 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천천히 우상향을 기대하며 투자하는 상품이다.
4. 수익률 높이는 팁은 없나?
사실 ETF 수익률은 시장 상황 + 내가 언제 샀는지 타이밍이 전부다.
하지만 초보자가 참고할만한 몇 가지 팁은 있대!
분할매수: 한 번에 몰빵하지 말고, 나눠서 조금씩 사기
적립식 투자: 매달 같은 날, 같은 금액 자동 매수
인기 ETF 고르기: 거래량 많고, 꾸준히 우상향한 상품 선택
국내 + 해외 ETF 섞기: 미국, 한국, 채권형 등으로 분산투자
저는 TIGER S&P500이랑 KODEX 미국채권10년선물 ETF를 7:3 비율로 구성했다.
그래서 주가가 흔들릴 때도 전체 수익률이 크게 빠지지 않더라!
마무리하며… 수익률은 너무 자주 보지 마라!
맞다. 저도 처음엔 하루에도 몇 번씩 수익률 봤다.
조금 오르면 괜히 들뜨고, 조금 떨어지면 우울해지고…
근데 시간이 지나면서 느꼈다.
ETF는 기다리는 투자라는 것을.
자주 확인하기보다, 한 달에 한 번 정도 체크하고,
시장 흐름과 내 자산 구성을 점검하는 용도로만 쓰는 게 좋다!
ETF 수익률 확인, 이제 안 어렵지?
오늘부터는 앱 열고 숫자 보면서 “이게 무슨 말이지?” 하지 마시고,
“오! 이번 달엔 이만큼 벌었네~” 하고 웃어보라!
초보자도 할 수 있다. 나도 했다.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받을 국민연금은 얼마? 직접 계산해보자 (4) | 2025.04.11 |
---|---|
연금저축 시작 전에 꼭 알아야 할 3가지 실수 (0) | 2025.04.11 |
연금으로 62세에 부자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 (3) | 2025.04.10 |
63세부터 90세까지, 2인 가구 노후생활비 얼마나 필요할까? (3) | 2025.04.10 |
[블로그 첫 인사] 지혜로운 연금공작소에 오신 걸 환영한다! (3) | 2025.04.09 |
IRP 계좌에 ETF 넣는 방법! 나처럼 처음 해보는 사람도 쉽게 할 수 있다 (2) | 2025.04.09 |
연금저축·IRP 수수료 낮은 증권사 추천 리스트 (2025년 기준) (0) | 2025.04.09 |
연금저축, 월 얼마가 적당할까? 최신 금액 가이드 (2025년 기준) (1)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