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IRP 계좌를 만드는 분이 정말 많아졌다. 나도 처음에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IRP를 만들었는데, 막상 만들고 나니 "이걸로 뭘 사야 하지?" 하는 고민이 바로 시작되더라. 특히 ETF를 담아서 자동매수까지 하려고 하면 종류가 너무 많아서 더 헷갈렸다. 이름도 비슷하고 다 좋아 보이는데, 뭐가 더 좋은 건지 모르겠었다.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IRP 계좌에 처음 투자하는 분들을 위해, ETF 자동매수 설정할 때 추천할 만한 ETF 리스트를 정리해봤다!
ETF 이름도 어렵고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최대한 쉽고 친근하게, 그리고 구체적인 추천 이유까지 설명해보겠다!
IRP에 ETF를 담을 때 중요한 기준
IRP는 ‘개인형 퇴직연금’이니까, 기본적으로 장기 투자를 위한 계좌다. 1~2년 안에 돈을 빼는 게 아니라, 10년, 20년 이상 장기적으로 굴려야 하니까 짧은 시세차익보다는 안정적인 성장이 더 중요하다.
ETF를 고를 때 나는 이렇게 기준을 세웠다:
1.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지수 기반인지
2. 분산 투자가 잘 되어 있는 상품인지
3. 운용규모가 크고 거래량이 안정적인지
4. 수수료가 적절한지
5.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상품인지 (이게 진짜 중요하다!)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ETF 리스트
자, 이제 본격적으로 제가 직접 조사하고 사용하면서 추천하는 ETF들을 소개해본다!
1. TIGER 미국S&P500 ETF
이건 정말 기본 중의 기본이다.
미국 대표 기업 500개의 주가를 반영하는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같은 회사들이 여기에 들어 있다.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는 계속 성장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안전하면서도 성장 가능성이 있는 ETF라고 할 수 있다.
처음 투자하시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
2.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S&P500보다 더 기술 중심으로 구성된 ETF다.
구글, 넷플릭스, 테슬라, 엔비디아 같은 고성장 테크기업 위주로 구성돼 있다.
성장성은 높지만 그만큼 변동성도 크기 때문에, IRP 자산의 일부만 투자하는 걸 추천한다.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분, 혹은 젊은 투자자라면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만하다!
3. KODEX 200 ETF
국내 대표 기업 200개로 구성된 지수, KOSPI200을 추종하는 ETF다.
삼성전자,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같은 국내 대기업들이 포함돼 있다.
미국이 아무리 좋아도 우리나라 기업에 익숙한 분들도 많잖아?
IRP 안에 국내 ETF 하나쯤 넣고 싶다면 가장 무난한 선택!
4. KODEX 미국채10년선물(H)
ETF라고 다 주식은 아니다! 이 상품은 미국의 10년짜리 국채에 투자하는 ETF다.
주식 시장이 흔들릴 때 안정적으로 자산을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환 헤지(H)가 되어 있어서, 환율 변동 위험도 줄어든다.
IRP에서 주식형 ETF 70% 채우고 남은 30%는 이런 안정적인 채권형 ETF로 채우는 걸 추천!
5. TIGER 골드선물(H)
금 가격에 따라 움직이는 ETF다.
금은 위기 상황에서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불안할 때 어느 정도 보호 역할을 해줄 수 있다.
금 직접 사기 어려우니까, 이런 ETF로 대체 투자하는 거다!
이것도 환 헤지가 되어 있어서 변동성도 줄일 수 있다.
IRP ETF 자동매수, 이렇게 구성해보라!
ETF 자동매수는 매달 일정 금액을 내가 고른 ETF에 자동으로 투자하게 해주는 기능이다.
한 번만 설정해두면 매달 알아서 투자되니까 진짜 편하다.
예를 들어, 이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TIGER 미국S&P500 – 40%
TIGER 나스닥100 – 20%
TIGER 골드선물(H) – 10%
KODEX 미국채10년선물(H) – 30%
이렇게 하면 성장성도 챙기고, 안정성도 잡을 수 있다.
특히 IRP에선 위험자산을 전체 자산의 70%까지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30%는 꼭 채권형이나 예금형 같은 안정적인 상품으로 구성해야 한다!
마무리하며 – ETF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라!
처음엔 ETF 종류도 많고 이름도 어렵고, 뭘 선택해야 할지 정말 막막했다.
근데 하나씩 공부하면서 직접 사보고, 또 자동매수 설정까지 해보니까
이제는 투자하는 게 점점 재미있어지고 있다.
중요한 건 완벽한 선택을 하려고 고민만 하지 말고,
일단 소액부터 시작해보는 거다.
한 달에 5만 원, 10만 원씩만 자동매수해도
1년, 3년, 5년이 지나면 큰 자산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오늘 소개한 ETF 리스트는 어디까지나 초보자가 시작하기 좋은 안전하고 검증된 ETF들이다.
꼭 이걸로 시작하지 않아도 되지만, 참고해서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라!
다음 글에서는 ‘ETF 자동매수 설정 방법’을 아주 자세히, 따라 하기 쉽게 알려주겠다.
혹시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어떤 ETF 담았는지도 공유해주시길!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로 연금저축을 대체할 수 있을까? (1) | 2025.04.17 |
---|---|
연금저축 vs IRP, 뭐부터 시작해야 할까? (2) | 2025.04.16 |
연금저축+IRP로 월 300만 원 만드는 절세 연금플랜 (65세부터 수령) (0) | 2025.04.16 |
IRP 계좌에서 ETF 자동매수 설정하는 법! 초보자도 10분이면 끝! (0) | 2025.04.15 |
IRP(개인형 퇴직연금) 완전정복: 누구에게 필요한가? (2) | 2025.04.15 |
국민연금만 믿으면 안 되는 진짜 이유=노후 대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 (1) | 2025.04.14 |
연금저축 해지하면 어떻게 돼? 세금 폭탄 진실 공개! (1) | 2025.04.14 |
연금 개시 나이에 따라 얼마나 달라질까?(55세 vs 60세 vs 65세 개시 수령액 비교) (3) | 2025.04.14 |